"환자측 고려 요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Urow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 임신의 경우 태반을 통과하여 문제가 되는 약제 chlormaphenicol, erythromycin estolate, tetracycline, quinolones, bactrim, metronidazole * 따라서 모든 가임...)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임신의 경우 태반을 통과하여 문제가 되는 약제
+
* '''임신'''의 경우 태반을 통과하여 문제가 되는 약제
 
chlormaphenicol, erythromycin estolate, tetracycline, quinolones, bactrim, metronidazole
 
chlormaphenicol, erythromycin estolate, tetracycline, quinolones, bactrim, metronidazole
  
* 따라서 모든 가임 연령 여성에서는 반드시 임신 반응 검사 등으로 임신여부를 확인한다.
+
* 따라서 모든 가임 연령 여성에서는 반드시 임신 반응 검사 등으로 임신 여부를 확인한다.
* 수유 시의 항생제는 아직 자료가 부족하나 상기 약제는 일반적으로 금한다.
+
* '''수유''' 시의 항생제는 아직 자료가 부족하나 상기 약제는 일반적으로 금한다.
  
 
* 임상에서 가장 흔히 고려할 상황으로는 환자의 '''신기능'''이 있다.  
 
* 임상에서 가장 흔히 고려할 상황으로는 환자의 '''신기능'''이 있다.  
16번째 줄: 16번째 줄:
 
|-
 
|-
 
| Chloramphenicol || Aztreonam
 
| Chloramphenicol || Aztreonam
 +
|-
 +
| Clindamycin || Cephalosporins
 +
|-
 +
| Doxycycline || Fosfomycin
 +
|-
 +
| Erythromycin || Imipenem
 +
|-
 +
| Metronidazole || Penicillins
 +
|-
 +
| Rifampin || Trimethoprim
 +
|-
 +
| Sulfamethoxazole || Tetracycline
 +
|-
 +
|  || Vancomycin
 
|}
 
|}

2021년 1월 10일 (일) 15:06 기준 최신판

  • 임신의 경우 태반을 통과하여 문제가 되는 약제

chlormaphenicol, erythromycin estolate, tetracycline, quinolones, bactrim, metronidazole

  • 따라서 모든 가임 연령 여성에서는 반드시 임신 반응 검사 등으로 임신 여부를 확인한다.
  • 수유 시의 항생제는 아직 자료가 부족하나 상기 약제는 일반적으로 금한다.
  • 임상에서 가장 흔히 고려할 상황으로는 환자의 신기능이 있다.
  • 간으로 주로 배설되는 약제는 심한 간기능 손상 시 용량을 감소하여야 한다.
  • 항생제 대사 배설의 주 경로
신장
Cefoperazone Aminoglycosides
Chloramphenicol Aztreonam
Clindamycin Cephalosporins
Doxycycline Fosfomycin
Erythromycin Imipenem
Metronidazole Penicillins
Rifampin Trimethoprim
Sulfamethoxazole Tetracycline
Vancomyc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