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학 매독

Urowki
Sjlee (토론 | 기여)님의 2019년 6월 28일 (금) 06:47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국내

  • 우리나라에서는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제3군 감염병에 속하며, 2010년까지 표본감시체계에 의해 전국 보건소 및 300여개 표본의료기관을 중심으로 발생현황을 파악하고 있었지만, 2011년부터 전수보고 성매개감염병으로 전환되었다. 모든 의료인은 신고의 의무가 있다.
- 신고범위: 1기매독, 2기매독, 선천매독
- 신고시기: 즉시
  • 1960년대에 2.8~10.0%에서 1990년대까지는 0.2~0.8%로 점차 감소된 것으로 보고되었다.[1],[2]
  • 그러나 2000년 이후 현증매독의 발생률 증가에 관한 두 차례의 보고가 있었고,[3][4]질병관리본부의 표본감시운영체계 통계 결과에서도 2000년 이후 1기, 2기의 증상기 매독 환자의 발생이 2001년 252명에서 2010년 1,144명으로 증가되었다.[5]
  • 특히 20대 청년층의 환자가 2001년 46명에서 2010년 385명으로 급증하였고, 또한 60세 이상에서의 성병 감염이 해마다 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5]
  • 2010년도 매독의 남녀빈도는 남성에서 468명, 여성에서 676명으로 보고되었다.[5]
  • 성병 위험인구집단 즉, 성매매 여성, 성구매자, 동성애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매독의 유병률은 9.8%로 보고되었다.[6]
  • 최근 국내 증상기(또는 조기) 매독의 증가, 청년층 환자의 증가 경향과 HIV 환자에서 동반된 매독의 유행도 보고되었다.[7][8]

국외

  • 1994-2000년에 매독 이환율은 인구 0.4-0.6명/100,000명에 도달한 이후로, 2002년에 1.5명/100,000명으로 증가하였으며 2004 년에는 4.0명/100,000명까지 증가하였다.[9][10]
  • 전염성 매독의 이환율은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증가하고 있으나 최근에는 남성에서의 증가율이 더욱 현저하고 이환된 환자의 대부분은 30-39세 남성이었다.[9][11][12]
대부분의 발생이 매춘과 남성 동성애자와 관련이 있었으나 일부는 여기에 포함되지 않는 이성애자였고 일부의 남성 동성애자에서 발생은 인터넷을 통한 신원불명의 파트너와의 성행위와 관련이 있었다.[13]
  1. 김희성, 이한승, 이민걸, 이정복 최근 일반 건강인에 대한 매독 혈청 검사 양성율 - 1995년, 대한피부과학회지 1997;35(3):514-519
  2. 최연상, 유희준, 손숙자 일반 건강인에 대한 매독혈청검사 성적(1987-1991) 대한피부과학회지 1994;32(5):866-871
  3. 신봉석, 송지영, 정병수, 최규철 최근 6년간 피부과에 의뢰된 매독환자의 임상적 고찰(2002~2007) -임상 양상 및 증상기 변화- 대한피부과학회지 2008;46(9):1179-1185
  4. 박혜진 최근 8년간 매독 환자에 대한 임상 및 통계학적 고찰(2000~2007) 대한피부과학회지 2008;46(10):1344-1352
  5. 5.0 5.1 5.2 Prevelance of syphilis in Korea.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http://stat.cdc.go.kr/kcdchome/jsp/observation/stat/sot/STATSOT1602List.jsp. Accessed Jan 10, 2010
  6. Unpublished data. Surveillance and Epidemiology Section, Community Acquired Infections Division, Public Health Agency of Canada, 2006
  7. Public Health Agency of Canada. Reported Infectious Syphilis Cases and Rates in Canada by Province/Territory and Sex, 1993-2002. Available at: www.phac-aspc.gc.ca/std-mts/stddata_pre06_04/tab3-2_e.html. Accessed July 14, 2005
  8. 질병관리본부. 위험인구집단에서의 성병 유병률 조사 연구, 박병주 등, 2007
  9. 9.0 9.1 이승호, 서대헌, 조광현, 은희철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감염에 동반된 비전형적인 피부소견을 보인 2기 매독 2예. 대한피부과학회지 2003;41(3):354-359
  10. 강숙경, 김은성, 이미우, 최지호, 성경제, 문기찬, 고재경 후천성 면역결핍증에 동반된 2기 매독 2예 대한피부과학회지 2002;40(4):428-432
  11. Klausner JD, Wolf W, Fischer-Ponce L, Zolt I, Katz MH. Tracing a syphilis outbreak through cyberspace. JAMA 2000;284:447-9
  12. Singh AE, Romanowski B. Syphilis: review with emphasis on clinical, epidemiologic, and some biologic features. Clin Microbiol Rev 1999;12:187-209
  13. Garnett GP, Aral SO, Hoyle DV, Cates W Jr, Anderson RM. The natural history of syphilis. Implications for the transmission dynamics and control of infection. Sex Transm Dis 1997;24:185-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