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학 첨규콘딜롬

Urowki
Sjlee (토론 | 기여)님의 2019년 7월 1일 (월) 01:30 판 (새 문서: ====일반적 특성==== *HPV는 가장 흔한 성매개감염 중 하나이다.<ref name="Cervical cancer: epidemiology, prevention and the role of 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일반적 특성

  • HPV는 가장 흔한 성매개감염 중 하나이다.[1]
  • 바깥으로 자라는 사마귀의 잠복기는 1-8개월이다.
  • 성인 인구의 70%는 일생 동안 적어도 한번의 생식기 HPV 감염을 경험한다.[2]
  • HPV 감염은 종종 이른 시기에 일어나며 (15-19세),[3] 이들 감염의 대부분(> 80%)은 18개월 이내에 자연적으로 치유된다.[4]
  • HPV 감염은 청소년기와 젊은 성인에서 자주 일어나지만, 모든 연령의 남녀에 영향을 줄 수 있다.
  • 바깥으로 자라는 사마귀로 발현되는 비발암성(non-oncogenic) 혹은 저위험성 HPV는 암 발생 위험도가 낮다.
  • 13가지 고위험 HPV 아형들은 항문암과 음경암과 마찬가지로 자궁경부암의 원인이 된다.[5]
  • HPV의 고위험성 유전자형(genotype) 획득 후 자궁경부암의 진단까지의 평균 시간은 20년이 걸린다.[6]
  • 한가지 HPV 유전자형의 감염으로 다른 형의 감염까지 막을 수는 없다.[7][8]
  • 다발성 형의 HPV 동시 감염은 HPV를 가진 여성의 5-30%에서 보고되고 있다.[9]
  • 증상이 있는 주산기 전염은 드물지만 대부분 임상적으로 2년 이내에 나타난다. 일단 발생하면 신생아의 항문생식기와 성대 병변과 관련이 있다.[10]

국내

  • 우리나라에서는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정감염병에 속하며, 표본감시체계에 의해 전국 보건소 및 300여개 표본의료기관을 중심으로 발생현황을 파악하고 있는 성매개감염병이다. 표본감시의료기관의 의료인은 신고의 의무가 있다.
- 신고범위: 감염병환자, 의사환자 (임상적 특징 및 역학적 연관성을 고려하여 감염이 의심되나 검사방법에 의하여 해당 병원체 감염이 확인되지 아니한 자)
- 신고시기: 7일 이내
  • 2003년도 발표된 자료에서는 일반 인구집단의 HPV 유병율이 10.4%로 나타났으며, 2004년도의 자료에서는 12.6%로 나타났다.[6][11]
  •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남자 8.7%, 여자 15.2%의 HPV 유병율을 보였다.[12]
  • 이에 대해 직업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39.1-46.8%의 높은 HPV 유병율을 보였다.[13][14]
  • 첨규 콘딜롬에 대한 유병율은 보고된 자료가 거의 없으나 2009년 국내 비뇨기과와 산부인과 내원환자를 대상으로 한 역학조사에서 첨규콘딜롬의 유병률은 0.37%(남자 0.77%, 여자 0.19%)였다.[15]
  • 한국 남성의 음경의 침윤성 편평세포암 조직에서 HPV DNA가 50%에서 검출되고 모두가 HPV DNA 16형 이었다는 보고가 있다.[16]

국외

  • 최근 미국의 HPV 유병율은 26.8%로 보고되고 있고 연령층으로는 20-24세에서 44.8%로 가장 높은 유병율이 관찰되었다.[17]
  • 전세계적으로 첨규콘딜롬의 매년 발생율은 20-24세에서 1.2%로 알려져 있다.[18]
  • 임상적으로 확인되는 저위험성 HPV의 외부 생식기 사마귀는 미국 인구의 성생활이 활발한 성인 (15-49세)의 1% 이내이다.[19]
  1. Franco EL, Duarte-Franco E, Ferenczy A. Cervical cancer: epidemiology, prevention and the role of 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 CMAJ 2001;164:1017-1025.
  2. Koutsky LA, Galloway DA, Holmes KK. Epidemiology of genital 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 Epidemiol Rev 1988;10:122-163.
  3. Burk RD, Kelly P, Feldman J, et al. Declining prevalence of cervicovaginal 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 with age is independent of other risk factors. Sex Transm Dis 1996;23:333-341.
  4. Ho GY, Bierman R, Beardsley L, Chang CJ, Burk RD. Natural history of cervicovaginal papillomavirus infection in young women. N Engl J Med 1998;338:423-428.
  5.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Cervix Cancer Screening. IARC Handbooks of Cancer Prevention, vol. 10.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6. 6.0 6.1 Shin HR et al. Prevalence of 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 in women in Busan, South Korea. Int J Cancer. 2003;103(3):413-421.
  7. Thomas KK, Hughes JP, Kuypers JM, et al. Concurrent and sequential acquisition of different genital human papillomavirus types. J Infect Dis 2000;182:1097-1102.
  8. Liaw KL, Hildesheim A, Burk RD, et al. A prospective study of human papillomavirus (HPV) type 16 DNA detection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its association with acquisition and persistence of other HPV types. J Infect Dis 2001;183:8-15.
  9. Rousseau MC, Pereira JS, Prado JC, Villa LL, Rohan TE, Franco EL. Cervical coinfection with human papillomavirus (HPV) types as a predictor of acquisition and persistence of HPV infection. J Infect Dis 2001;184:1508-1517.
  10. Syrjänen S. HPV infections in children. Papillomavirus Rep 2003;14:93-109.
  11. Joo WD et al. Prevalence of 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 in Korean women: Risks of abnormal pap smear and cervical neoplasia. Korean J Gynecol Oncol Colposc. 2004;15(4):309-316.
  12. Shin HR et al. Prevalence and determinants of genital infection with papillomavirus, in female and male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South Korea. J Infect Dis. 2004; 190:468-476.
  13. Choi BS et al. Genital human papillomavirus genotyping by HPV oligonucleotide microarray in Korean commercial sex workers. J Med Virol. 2003:71(3):440-445.
  14. Min SK et al. Prevalence of HPV infection and HPV Genotype Spectrum among Sexually High-Risk Woman in Busan. Korean J Life Science. 2009:19;234-240.
  15. 이승주, 조용현. 바이러스성 성병 유병률 및 역학적 특성 연구. 질병관리본부; 2009.
  16. Park YI, Lim JH, Oh BY, Ryu SB, Choi C, Park CS. Detection of human papillomavirus DNA in invasive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penis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in situ hybridization. Korean J Urol 1997;38:823-831.
  17. Dunne EF, Unger ER, Sternberg M et al. Prevalence of HPV infection among females in the United States. JAMA 2007;297:813-819.
  18. Ahmed AM, Madkan V, Tyring SK. Human papillomaviruses and genital disease. Dermatol Clin 2006;24:157-165.
  19. Jay N, Moscicki AB. 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s in women with HIV disease: prevalence, risk, and management. AIDS Read 2000;10:659-668.